언론자료
자료실
돌봄과 성찰의 장…부드럽게 스며드는 동시대 인류의 대안들
■ 제14회 광주비엔날레 개막 아시아 최대 미술축제 94일 대장정
물 흐르듯 유기적이면서 절제된 구성…전통과 생태학적, 회복력의 전시 이정표
제14회 광주비엔날레 6일 개막식…유명 미술계 인사 등 참석 국제적 위상 확인
광주비엔날레 박서보 예술상 첫 수상자에 미술계 이목 집중
광주 전역 문화예술 현장…아시아문화중심도시 구심점 역할
(재)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와 광주광역시가 주최하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soft and weak like water)가 4월 7일부터 7월 9일까지 94일 간 항해를 시작한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를 주제로 한 본전시와 파빌리온으로 구성되면서 예술의 도시 광주 전역이 국내외 미술 애호가를 비롯해서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특히 이숙경 예술감독이 기획한 본전시와 광주비엔날레재단이 각 대사관과 협력하여 추진한 파빌리온은 동시대 이슈들과 공명하면서 예술의 역할을 탐색하고 예술만이 지닌 가치와 힘을 시각화하는데 주력하였다.
● 담백함과 절제의 미학 속 저항과 공존의 힘찬 메시지
이숙경 예술감독이 기획한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도가(道家)의 근본 사상을 담은 『도덕경』에서 차용했다. 전환과 회복의 가능성을 가진 물을 하나의 은유이자 원동력, 혹은 방법론으로 삼고, 이를 통해 우리가 사는 지구를 저항과 공존, 연대와 돌봄의 장소로 상상해 볼 것을 제안한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참여 작가는 세계 각국 79작가로 서로 다른 세대와 문화적 배경, 지역을 바탕으로 동시대 예술을 실천하는 작가들이다. 원로 및 신진, 여성, 원주민 출신 등 다종다양한 스펙트럼의 작가들은 다층적이면서 평등한 시선들을 발산한다.
이러한 기획 아래 선보이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저항, 해체, 탈식민주의, 생태, 환경 등의 ‘힘찬’ 메시지를 던지기도 하며 연대와 사유, 포용, 회복의 ‘부드러운’ 장을 제공하는 등 관람객의 완급과 호흡을 조절하면서 관람을 유도한다. 즉 강하면서도 서정적이며, 깊은 밀도감 속에서 창출되는 절제의 미가 돋보이는 전시 구성은 이질성과 모순을 수용하는 물의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
즉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기술과 발전 등의 동시대 사회 현상 속에서 오히려 선주민들의 전통, 치유법, 집단 창작, 공예 등 삶의 지혜를 살펴보면서 급변하면서 피로한 현대인들이 성찰하고 치유 받고 공존하는 삶에 대한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과 대안을 담백하면서 ‘선한 전시’로서 보여주고 있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 들어서서 처음으로 접하는 작품은 조상들의 의례, 기독교와 아프리카 정신성의 관계를 주제로 작업해 온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불레베즈웨 시와니(Buhlebezwe Siwani)의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는 장소 특정적 설치 작업 <바침>(An Offering)이 펼쳐진다. 제1 전시실 전체가 거대한 자연과 생태의 현장이 되어 관람객을 맞이하며 전시실 가운데에는 물을 활용한 설치 작업 <영혼 강림>(The Spirits Descend) 작품에서 회복의 기운이 감지된다.
‘은은한 광륜’(Luminous Halo)(제 2전시실)에 들어서면 팡록 술랍(Pangrok Sulap)의 5·18과 연관된 집단적 저항과 연대, 애도의 순간들을 포착한 〈광주 꽃피우다〉(Gwangju Blooming)(2023) 목판 작업이 오윤의 판화 작업과 공명하고 있으며, 알리자 니센바움(Aliza Nisenbaum)의 광주지역 놀이패 ‘신명’과 협업한 회화 작품은 5‧18 당시 목숨을 잃은 사람들과 그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언젠가 봄날에’라는 마당극을 재해석해 담아냈다.
‘조상의 목소리’(Ancestral Voices)(제 3전시실)에서는 노에 마르티네스(Noé Martínez)의 가운데 매달린 <송이 3>(Bunch 3) 작품과 열한 개의 도예 조각으로 구성된 설치 작품이 펼쳐진다. 16세기 유럽인들에 의해 노예로 팔려간 와스테크 선조들의 역사를 환기시키는 일련의 조각 작품들을 통해 멕시코 사람들이 겪었던 집단적 트라우마를 조명하고, 서구적 세계관이 형성한 역사를 바라보는 대안적 해석을 제안한다. 수년간 해안도시의 생태적, 역사적, 산업적 현실을 기록하기 위해 물 주변이나 수면 아래서 소리를 녹음해온 타렉 아투이(Tarek Atoui)의 한국의 지역 장인과 음악가들과 협력하여 제작한 악기와 사운드 오브제 설치 작품에서는 관객 참여 워크숍을 통해 연주되면서 새로운 만남과 비물질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을 제공한다.
‘일시적 주권’(Transient Sovereignty)(제 4전시실)에서는 호주 중앙 사막 지역 이완차 아트센터 소속의 존경 받는 여성 원로이자 아티스트, 전통 치료사인 베티 머플러(Betty Muffler)의 <나라를 치유하다>(Healing Country) 대형 회화 작업은 치유와 돌봄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살아가는 현실을 사유하는 아서 자파(Arthur Jafa)의 영상 작품 〈LOML〉은 애도와 비탄의 감정을 환기한다.
마지막 전시실인 ‘행성의 시간들’(Planetary Times)(제 5전시실)에서는 김민정 작가의 〈타임리스〉(Timeless) 등 일련의 신작이 선보여지는데 먹물이나 태운 한지로 만들어진 형태들이 화면에 깊이를 만들어내면서 명상적 공간을 구현하며, 바로 옆에는 주디 왓슨(Judy Watson)의 인디고 물감, 캥거푸 풀 등의 재료를 활용한 <죽은 나무가 있는 버룸 강>(burrum river with dead tree) 등 회화 연작을 비롯해서 아벨 로드리게즈(Abel Rodríguez)의 아마존 우림을 기록한 세밀한 드로잉 <풍요와 삶의 나무>(The tree of life and abundance) 등은 관람객을 마치 생태학적 환경에 놓이게 하면서 회복하고 치유하는 시간과 조우하게 한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이외에 외부 전시 공간인 국립광주박물관, 무각사,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예술공간 집 등에서도 공간의 건축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맥락에 상응하는 작업들이 구현되었다.
● 다양한 세계 미술을 광주에서 만나는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제14회 광주비엔날레 기간 국외 유수 문화예술 기관이 참여하는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면서 미술의 도시 광주를 역동하는 동시대 미술 현장으로 엮어낸다.
한국과 세계 미술기관의 문화 교류를 위해 2018년 추진된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2018년 총 3개 기관이, 2021년에는 총 2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이번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는 캐나다, 중국, 프랑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스위스, 우크라이나 등 총 9개국이 참여하여 역대 최대 규모이다.
이에 따라 광주를 중심으로 세계 미술계가 응집되고 결집됨으로써 광주가 세계 미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각 국가별 파빌리온은 동시대 화두인 기후 문제와 자국 전통, 소수민족 문화 등을 아우르면서 본전시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와 상호작용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공공 미술관 혹은 대안 공간, 사립미술관 등 협력기관의 특성에 맞게 공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파빌리온은 5일부터 8일까지 각 파빌리온별로 개막식을 갖고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광주지역 협력기관이자 전시 장소는 광주시립미술관, 이이남 스튜디오,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동곡미술관, 은암미술관, 이강하미술관, 10년후그라운드, 양림미술관, 갤러리 포도나무 등지이다.
특히 전시 이외에 개막과 맞춰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네덜란드 파빌리온에서는 4월 7일, 8일, 9일 오후 2시-5시에 진행되는 증거 재판 퍼포먼스가 마련된다.
● 작가 중심의 개막식
(재)광주비엔날레는 4월 6일 오후 6시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앞 야외광장에서 개막식을 개최하고 공식 개막을 선포한다.
개막식 공식행사는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의 개막선언에 이어 광주광역시장의 환영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축사 순으로 진행된다. 이어 슈퍼주니어 멤버이자 배우 최시원 홍보대사 위촉식과 이숙경 예술감독의 전시 개요 설명 및 참여작가 소개가 이어지며 광주비엔날레 박서보 예술상 수상식 순으로 열린다.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동시대 미술, 나아가 문화에 새로운 담론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94일 간의 현대미술 축제로 광주와 아시아, 세계가 연대하고 화합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힐 예정이다.
광주광역시장의 환영사는 “1995년 창설되어 단 시간에 세계적인 미술축제로 자리매김한 광주비엔날레가 올해로 14회를 맞이했다”며 “광주비엔날레 창설 선언문에도 나와 있듯 민주·인권·평화정신을 세계에 발신하면서 세계인과 문화예술로 소통하길 바란다”고 밝힐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축사는 “광주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었던 데는 광주만의 차별화된 문화적 자산인 광주비엔날레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대한민국 대표 문화 브랜드인 광주비엔날레의 성공 개최를 기원한다”고 말할 예정이다.
개막식에는 프란시스 모리스(Frances Morris) 테이트 모던 관장, 2024 베니스 비엔날레 예술감독 아드리아노 페드로사(Adriano Pedrosa), 카셀 도쿠멘타13 예술감독 캐롤린 크리스토프-바카기예프(Carolyn Christov-Bakargiev), 마미 카타오카(Mami Kataoka) 모리미술관 수석큐레이터 등 국제 미술계 주요 인사들을 비롯해서 헤라 뷔육타쉬즈얀(Hera Büyüktaşcıyan), 고이즈미 메이로(Meiro Koizumi), 압바스 아크하반(Abbas Akhavan), 불레베즈웨 시와니(Buhlebezwe Siwani) 등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참여 작가 등이 대거 참석해서 작가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파빌리온 참여국을 비롯하여 각 국의 대사 및 대사관 관계자, 큐레이터, 참여작가들이 참석하여 광주비엔날레의 국제적 위상을 가늠케한다. 이번 개막식에는 폴란드 파빌리온 큐레이터인 세바스찬 치호츠키(Sebastian Cichocki, 바르샤바 현대미술관 수석 큐레이터)를 비롯해서 프랑스 파빌리온 참여작가인 지네브 세디라(Zineb Sedira), 네덜란드 참여작가인 요나스 스탈(Jonas Staal), 라다 드수자(Radha D’Souza) 등이 참석한다.
이번 개막식의 백미라 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 박서보 예술상은 제14회 광주비엔날레에서 처음 시상하는 것으로 제1회 수상자에 대해 국내외 미술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 상은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참여작가를 대상으로 수여되는데, 수상자에게는 상금 10만 달러(한화 1억 3천만원 상당)와 광주광역시의 시조인 황금비둘기상패가 함께 수여된다.
공식 행사에 이어 개관 이벤트와 참여작가인 타렉 아투이의 주제 공연이 20분 정도 펼쳐지면서 광주비엔날레다운 개막식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개막과 맞춰 4월 7일과 8일 이틀 간 (재)광주비엔날레와 현대 테이트 리서치 센터: 트랜스 내셔널과 공동주최로 심포지엄 ‘합류: 미술과 행성의 이야기’가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에서 개최되며, 행사 기간 동안 시민 참여의 공공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제14회 광주비엔날레 개막을 축하하는 국립합창단의 공연이 4월 8일 오후 5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선보인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 프레스오픈 관련 모든 보도자료 및 이미지 등은 광주비엔날레 NAS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ID: guest2019 / PW: 1234
(문의) 홍보마케팅부 (062)608-4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