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광주비엔날레(2023)
전시
- 행사기간
- : 2023-04-07 ~ 2023-07-09
- 참여작가 수
- : 79 작가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soft and weak like water)
2023-04-07 ~ 2023-07-09
기획의 변
제 14회 광주비엔날레는 전환과 회복의 가능성을 가진 물을 은유이자 원동력, 방법으로 삼고 이를 통해 지구를 저항, 공존, 연대와 돌봄의 장소로 상상해 보고자 한다.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오랜 시간에 걸쳐 스며드는 부드러움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물의 힘을 표본으로 삼아, 이런 힘이 어떻게 분열과 차이를 포용하는지 모색해 본다. "세상에서는 물이 가장 유약하지만, 공력이 아무리 굳세고 강한 것이라도 그것을 이겨내지 못한다”(도덕경 78장)는 의미의 ‘유약어수’에서 차용하여, 이번 비엔날레는 이질성과 모순을 수용하는 물의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에 깊이 침투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직면한 복잡한 현실에 나름의 방향성과 대안을 제시하는 예술의 가치를 탐구한다.
따라서 제14회 광주비엔날레는 감정적이고 심리적인 것으로부터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것까지 인간이 경험하는 모든 측면에 맞닿아 흐르는 미묘한 저류와 무형의 힘을 탐구하며, 이곳과 모든 곳, 지금과 모든 시간, 하나와 모든 것 사이를 잇는 유동적 전체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명을 위협하는 팬데믹과 심화된 전쟁 및 난민 문제부터 악화된 인종차별과 기후 재난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예술가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살펴 볼 예정이다. 다양하고 다층적인 대응을 이끌어내는 예술가의 작업을 통해 상이해 보이지만 동일한 긴급성을 띈 지구적 이슈를 하나의 ‘엉킴(entanglement)’으로 보고, 지구와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문제가 필요로 하는 공통된 행성적 관점에 주목한다. 인류 공동의 미래를 생각하는 데 있어서는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넘어 다양하면서도 때로는 상반된 가치관을 아우르는 관점이 요구된다. 변화와 유동성, 불확정성을 강조하는 관계적 우주론을 통해 현재 우리가 당면한 위기와 그에 상응하는 예술적 실천에 접근함으로써 이번 비엔날레는 지구를 인류세 이전과 이후의 시간과 얽힌 공유, 연결, 무경계의 공간으로 그려본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는 도시 광주를 다원성을 내포하는 '광주 정신'의 기원이자 근원으로 삼는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이후 수년간 지속된 준군사 정권의 부정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광주는 민주주의, 저항, 정의의 대표적 상징으로 자리잡았으며 시민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기리기 위해1995년에 국제 미술 비엔날레를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광주를 특정 지리나 지역이 아닌 하나의 패러다임, 매뉴얼, 인식론의 틀로 생각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광주와 시민들이 시작한 변화의 물결과 그 의미를 현대 미술을 통해 재해석하고자 한다. 광주를 통해, 그리고 광주와 함께 생각한다는 것은, 세계를 중심과 주변이라는 이분법적 구조에서 벗어나 시공간에 걸쳐 분산된 교차와 연계의 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번 비엔날레의 또 다른 주요 목적은 서예, 수묵화, 판소리, 칠기를 비롯해 기타 예술 및 공예의 전통에 바탕을 둔 '예향'이라는 광주의 역사적 정체성에 주목하는 것이다. 도시를 지탱한 오랜 예술적 실천과 감수성은 불교, 유교, 도교의 철학적, 수행적 가르침(욕망의 부정, 높은 윤리 규범, 무행위의 자연적 가치 등)과 함께 다른 문화권에서도 발견되는 조상의 가르침과 연결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주의 예술적, 문화적 뿌리에서 영감을 얻어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남태평양 우주론, 북아프리카 시학, 인도양과 중앙아시아 교역로의 문화 유산처럼 일견 동떨어져 있거나 상이해 보이는 것 가운데에서 초문화적 유사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렇게 상상된 교차점들은 우리라는 틀을 넘는 연결적이고 행성적인 관점을 드러내며, 지정학적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전통과 문화 사이의 가변적인 연결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각을 통해 이번 비엔날레는 근대주의, 서구의 식민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지식 체계를 비평적으로 재평가하고, 각각의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에 뿌리를 둔, 조상으로부터 물려 받은, 토착적인 지식을 중시하는 대안적 지식 구조의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동시에 차이를 존중하며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유사성 뿐만 아니라 개별성 안에 내재하는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비엔날레 전시관은 1995 년 출범 당시부터 광주비엔날레의 핵심적인 전시 공간으로 사용돼 왔다.광주 5.18 민주화운동 당시의 폭력적인 억압에서 벗어난 지 15 년 뒤 개관한 이래로 그 저항 정신을 기려왔고, 광주를 넘어 한국,아시아, 전 세계를 연결하는 역사적 시민 투쟁은 물론 여러 동시대 시민 투쟁을 조명하며 광주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본 전시관은 이번 비엔날레를 위해 마련된 전시 공간 중 가장 큰 만큼 50 명이 넘는 미술가들과 사상가들을 한데 모으고, 전시관 내 각기 세분된 5 개의 대형 갤러리를 엮어 하나의‘ 메타 스코어’ 로 구성한다.전시된 작품들은 현재라는 시점으로 들어가는 감각적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더 나아가 본 전시는 기념을 위해 고안된 미학, 토착(민) 생활 세계, 군국주의가 남긴 유산, 모계 중심의 공동체와 성소수자 문화에서 비롯한 생존을 위한 전략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관객들을 이끌고, 이로써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가 간직한 집단 지성의 기반을 눈앞에 펼쳐내 보인다.
The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has served as the primary location of the Gwangju Biennale since its inception in 1995. Opening its gates for the first time fifteen years after the violent repression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t commemorates the spirits of the uprising and addresses their significance in light of contemporary and historical civic struggles that connect Gwangju, South Korea, and Asia with the rest of the world.The largest of the exhibition venues brings together over fifty artists and thinkers and organizes each of its five large - scale galleries as a meta - score.The works on view conjure sensorial entryways into the present while inviting audiences to experience commemorative aesthetics, indigenous life worlds, legacies of militarism, and strategies of survival devised by matrilineal collectivities and queer cultures, laying bare the groundwork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a networked society.
함께 떠오르기Gwangju Rising Together
산, 들, 강과의 동류의식Kinship of Mountains, Fields and Rivers
욕망 어린 신체, 분과적 경계 너머Bodies in Desire, Beyond the Disciplinary Fold
돌연변이에 관해 Matters of Mutation
행동하는 모계문화 Matriarchy in Motion
국립광주박물관 Gwangju National Museum
사방천지, 온전히 죽지 못한 존재들 The Undead from Four Directions
국립광주박물관에서는 죽음과 사후 세계 사이의 대화, 영적인 오브제의 기능 회복, 신체의 육체적 한계, 애도를 위한 행위 등에 관한 주제를 풀어나간다.…국립광주박물관에 소개된 미술 작품 및 유물은 산 자들의 세계(들) 를 규명하는‘ 실제’ 를 기록하는 데 선조와의 연쇄적 관계, 질환 및 치료에 대한 비서구적 방식들,‘온전히 죽지 못한 존재들’ 이 수행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논한다.
The Biennale here unfolds a dialogue of death and the afterlife, the reparation of spirit - objects, the corporeal limits of the body, and acts of mourning.…artistic and historical works attune to links of ancestry, non - western mappings of aliment and cure, and the foundational role of the undead in shaping registers of “the real” across the world(s) of the living.
광주극장 Gwangju Theater
자주적 이미지의 세계들Sovereign Image Worlds
한국에서 현재 운영 중인 극장 중 가장 오래된 광주극장에서는, 카라빙 필름 콜렉티브가 개척민 사회의 폭력에 저항하는 자주권의 형태들을 창안하고자 유독성에 맞서 즉흥성과 힙합 음악을 활용한 이들 특유의 영화 미학을 구현해 보인다.주디 라둘의 몰입적 설치 작품과 퍼포먼스는 기술적, 생물적 의미에서 이미지 생산의 도식적 반복에 도전한다.…극장의 복도에 설치된 조피아 리데트의 포토몽타주는 1970 년대 후반부터 제작됐으며 영화 같은 역사적 장면들과 미장센 사이에 초현실적인 대화를 촉발시킨다.
At Korea’ s oldest operational cinema, Karrabing Film Collective activates their cinematic aesthetics through improvisation and hi - hop in the face of toxicity to conceive forms of sovereignty against settler violence.Judy Radul’ s immersive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challenges the schematic refrains of image production in both a technological and biological sense.…Zofia Rydet developed in the late 1970 s initiate a surrealist dialogue with filmic histories and mis - en - scene.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Horanggasy Artpolygon
깊은 기억, 다종의 시대 Deep Memory, Multi - species Time
양림산은 일제 강점기 및 반일 운동, 기독교 복음 전도, 공동의 보건 복지, 미국 선교사들의 전략적 역할 등 한국 근현대사의 복잡다단한 면면이 얽히고 설킨 상징적이고 신성한 장소로, 광주비엔날레 역사상 처음 전시 공간으로 사용된다. …
The sacred Yangnim Mountain–a symbol of Korea’s layered histories from Japanese colonization and anticolonial resistance to Christian evangelization, communal healthcare, and the strategic role of American missionaries in Gwangju – offers a venue for the Biennale for the first time. …
이숙경 예술감독
이숙경 예술감독은 영국 테이트모던 국제 미술 수석 큐레이터이며 현대 테이트 리서치 센터: 트랜스내셔널의 수장을 맡고 있다. 테이트모던에서 수많은 전시를 기획했으며, 최근에는 백남준 회고전 《백남준》(Nam June Paik)(2019-20)과 《미술로 본 한 해: 호주 1992》(A Year In Art: Australia 1992) (2021-23)을 기획 전시했다. 또한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및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케린 그린버그 협력 큐레이터
케린 그린버그는 사회적∙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런던에서 1년간 유급 큐레이터 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뉴 큐레이터스의 공동 디렉터를 맡고 있다. 테이트 국제 컬렉션 전시 책임자로 일했으며, 2011년 테이트의 아프리카 작품구입위원회 설립 책임자이기도 했다.
임수영 보조 큐레이터
임수영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독립 큐레이터이자 미술사학자다. 최근 광주비엔날레재단에서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해 선보인 특별 전시 프로젝트 《메이투데이(MaytoDay)》의 공동 큐레이터, 《상하이 프로젝트》의 보조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아세안문화원을 비롯해 다양한 기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최장현 보조 큐레이터
최장현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서울에서 활동하는 독립 큐레이터이자 비평가다. 뉴욕 현대미술관과 시카고 현대미술관에서 큐레토리얼 펠로우로 근무했으며, <아트포럼(Artforum)>, <텍스트 주어 쿤스트(Texte zur Kunst)> 같은 미술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다.
- 앨런 마이컬슨
- 장지아
- 차이쟈웨이
- 이이란
- 타렉 아투이
- 비비안 수터
- 김순기
- 앙헬리카 세레
- 노에 마르티네스
- 타스나이 세타세리
- 김기라
- 판 다이징
- 탈로이 하비니
- 타냐 루킨 링클레이터
- 래리 아치암퐁
- 김영재
- 헤라 뷔육타쉬즈얀
- 이승택
- 오석근
- 팡록 술랍
- 나이자 칸
- 베티 머플러
- 흐엉 도딘
- 아서 자파
- 압둘라예 코나테
- 마우고르자타 미르가-타스
- 라티파 에샤크
- 주디 왓슨
- 바킷 부비카노바
- 에밀리 카메 킁와레예
- 에밀리아 스카눌리터
- 마타아호 컬렉티브
- 다야니타 싱
- 김구림
- 아벨 로드리게즈
- 홍이현숙
- 류젠화
- 압바스 아크하반
- 유키 키하라
- 이승애
- 에드가 칼렐
- 킴 림
- 오윤
- 소핍 핏
- 마마 앤더슨
- 차일라 쿠마리 싱 버만
- 알리자 니센바움
- 테스 자레이
- 정재철
- 나임 모하이멘
- 제임스 T. 홍
- 앨버타 휘틀
- 마리아 막달레나 캄포스-폰스
- 유마 타루
- 고이즈미 메이로
- 산티아고 야오아르카니
- 마윤키키
- 불레베즈웨 시와니
- 김민정
- 막가보 헬렌 세비디
- 이끼바위쿠르르
- 과달루페 마라비야
- 파라 알 카시미
- 크리스틴 선 킴
- 타우스 마카체바
- 구철우
- 캔디스 린
- 엄정순
- 타이키 삭피싯
- 멜라니 보나조
- 이건용
- 루시아 노게이라
- 강연균
- 앤 덕희 조던
- 모리 유코
- 스카이 호핀카
- 로버트 자오 런휘
- 데이비드 징크 이
- 유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