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낼 대상
총 게시물 34 건 / 1 페이지
2022년 GB토크 결과자료집(재)광주비엔날레는 월례회의 일환으로 2017년부터 다학제적 장을 공유하는 강연프로그램 GB토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작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3회 추진한 GB토크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Soft and weak like water》 전시 주제와 연계해 진행했습니다. ‘공동체’, ‘광주’, 그리고 ‘
(재)광주비엔날레와 아르코미술관은 11월 23일 수요일 오후 3시 45분,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시 관객을 주제로 GB X ARKO TALKS 행사를 개최합니다. (재)광주비엔날레와 아르코미술관은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온라인 전시 콘텐츠에 대한 관람객의 경험과 요구 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공동으로 진행한 바 있
(재)광주비엔날레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를 주제로 열리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3회 GB토크를 진행합니다. 오는 10월 26일 수요일 오후 2시 광주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 GB토크가 개최됩니다. 광주의 도시상징인 ‘예향’이 탄생하게 된 정치·문화적 배경, ‘5·18 민주화운동 비경험 세대’와 광주에서 유년기를
(재)광주비엔날레는 제14회 전시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주제와 연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3회 GB토크를 진행합니다. 그 중 9월에 개최되는 첫 번째 GB토크는 전 지구적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체의 필요성 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모순과 차별, 위계에 따른 불평등을 해체하는 상상을 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워크숍 | 농민의 항거에서 공동체 아카이브까지P. 사이나스2021년 1월 28일 오전 9:00-11:00 CET / 오후 5:00-7:00 광주2020 년 12 월 11 일 푸네 지역 곳곳의 여성 농민들이 푸네 지역 세무서 인근에서 열린 ‘키산 보그’ 시위에 참석해 새로운 농장 관련법 폐지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농민 운동에 합세했다. (P
키노트 | 릴라 간디: 다치지 않을 능력에 관하여 2021년 1월 30일 오전 11시-오후 12시 30분 CET, 오후 7시-8시 30분 광주 시간 참여링크 : https://zoom.us/j/95876248641 (줌 ID : 958 7624 8641) “이 강연은 다치지 않을 능력(uninjurability)이라는 이상에 관한 것이다. 이것이 뜻하는 바
패널 | 생태학 운동, 지구의 운동 마리안 파스토르 로세스, 시안 데이리트, 비에스카 니일라스 2020년 12월 11일 오전 10–11.30 CET / 오후 6–7.30 광주 참여링크 : https://zoom.us/j/94610141679(줌 ID : 946 1014 1679)팬데믹으로 커져 가는 어려움과 더불어, 토착민 공동체, 토지와 수자원을 지키는
토크 | 언니들과 꾸러미 언박싱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스 클럽 2020년 12월 12일 토요일 오전 10–11.30 CET / 오후 6–7.30 광주참여링크 : https://zoom.us/j/92624453720(줌 ID : 926 2445 3720)토론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영어 동시 통역이 제공됩니다. 지역의 여성 농민이 소비자에게 직접 보내는 산지 농작
비디오 | 나데지: 맥동하는 인프라 : 상상, 이야기, 버그 나데지는 인터넷 안팎에서 이뤄지는 집단 치료 활동을 중심으로 일상 속 투쟁의 가능 조건을 전개하기 위한 실천들에 대해 논의한다. 그는 ‘기술 상상하기’라는 개념과 함께 기술 인프라에 대한 자본주의의 무산된 기대를 제시한다. 우리는 페미니즘의 렌즈를 통해 성공, 신뢰도, 가용성을 어떻게 재해석할
비디오 │ 록만 추이: 인터넷과 디지턱 보안 정책, 홍콩 민주화 운동 학자이자 활동가 록만 추이는 풀뿌리 사회운동, 뉴테크놀로지, 디지털 감시의 관계에 관해 이야기한다. 최근의 인터넷과 디지털 보안 정책이 어떻게 홍콩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는지, 기술이 위협과 감시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한다. 록만 추이는 학자이자